교과서에 실린 현대 시
개화기
1910년대 ~ 광복 이전
- ㄴ 1910년대 ~ 광복 이전의 시문학
- ㄴ 연분홍(김억)
- ㄴ 봄은 간다(김억)
- ㄴ 불노리(주요한)
- ㄴ 진달래꽃(김소월)
- ㄴ 가는 길(김소월)
- ㄴ 길(김소월)
- ㄴ 산유화(山有花)(김소월)
- ㄴ 접동새(김소월)
- ㄴ 초혼(招魂)(김소월)
- ㄴ 국경의 밤(김동환)
- ㄴ 나의 침실로(이상화)
- ㄴ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(이상화)
- ㄴ 나룻배와 행인(한용운)
- ㄴ 당신을 보았습니다(한용운)
- ㄴ 님의 침묵(한용운)
- ㄴ 사랑의 측량(한용운)
- ㄴ 사랑하는 까닭(한용운)
- ㄴ 알 수 없어요(한용운)
- ㄴ 우리 오빠와 화로(임화)
- ㄴ 향수(정지용)
- ㄴ 유리창Ⅰ(정지용)
- ㄴ 바다 9(정지용)
- ㄴ 별(정지용)
- ㄴ 장수산Ⅰ(정지용)
- ㄴ 비(정지용)
- ㄴ 춘설(春雪)(정지용)
- ㄴ 인동차(忍冬茶)(정지용)
- ㄴ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(김영랑)
- ㄴ 내 마음을 아실 이(김영랑)
- ㄴ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(김영랑)
- ㄴ 모란이 피기까지는(김영랑)
- ㄴ 오월(김영랑)
- ㄴ 거울(이상)
- ㄴ 오감도(烏瞰圖)(이상)
- ㄴ 남으로 창을 내겠소(김상용)
- ㄴ 고향(故鄕)(백석)
- ㄴ 모닥불(백석)
- ㄴ 수라(修羅)(백석)
- ㄴ 여승(백석)
- ㄴ 여우난골족(백석)
- ㄴ 국수(백석)
- ㄴ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(백석)
- ㄴ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(백석)
- ㄴ 흰 바람벽이 있어(백석)
- ㄴ 해바라기의 비명-청년 화가 L을 위하여(함형수)
- ㄴ 화사(서정주)
- ㄴ 귀촉도(서정주)
- ㄴ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(이용악)
- ㄴ 낡은 집(이용악)
- ㄴ 오랑캐꽃(이용악)
- ㄴ 우라지오 가까운 항구에서(이용악)
- ㄴ 꽃가루 속에(이용악)
- ㄴ 전라도 가시내(이용악)
- ㄴ 들길에 서서(신석정)
- ㄴ 추일 서정(秋日抒情)(김광균)
- ㄴ 설야(김광균)
- ㄴ 생명의 서(유치환)
- ㄴ 바위(유치환)
- ㄴ 깃발(유치환)
- ㄴ 장날(노천명)
- ㄴ 난초 4(이병기)
- ㄴ 박연 폭포(이병기)
- ㄴ 고풍 의상(조지훈)
- ㄴ 봉황수(조지훈)
- ㄴ 승무(조지훈)
- ㄴ 교목(喬木)(이육사)
- ㄴ 절정(絶頂)(이육사)
- ㄴ 광야(이육사)
- ㄴ 그 날이 오면(심훈)
- ㄴ 꽃구름 속에(박두진)
- ㄴ 길(윤동주)
- ㄴ 또 다른 고향(윤동주)
- ㄴ 별 헤는 밤(윤동주)
- ㄴ 서시(윤동주)
- ㄴ 쉽게 씌어진 시(윤동주)
- ㄴ 자화상(윤동주)
- ㄴ 십자가(윤동주)
- ㄴ 아우의 인상화(윤동주)
- ㄴ 새로운 길(윤동주)
- ㄴ 참회록(윤동주)
- ㄴ 달밤(이호우)
- ㄴ 벽공(碧空)(이희승)
- ㄴ 먼 후일(김소월)
- ㄴ 옷과 밥과 자유(김소월)
- ㄴ 왕십리(김소월)
- ㄴ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(김소월)
- ㄴ 논개(변영로)
- ㄴ 봄비(변영로)
- ㄴ 우리 집(주요한)
- ㄴ 봄은 고양이로다(이장희)
- ㄴ 찬송(讚頌)(한용운)
- ㄴ 사랑(한용운)
- ㄴ 해당화(한용운)
- ㄴ 타고르의 시(GARDENISTO)를 읽고(한용운)
- ㄴ 산 너머 남촌에는(김동환)
- ㄴ 오-매 단풍 들것네(김영랑)
- ㄴ 독(毒)을 차고(김영랑)
- ㄴ 거문고(김영랑)
- ㄴ 떠나가는 배(박용철)
- ㄴ 임께서 부르시면(신석정)
- ㄴ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(신석정)
- ㄴ 가고파(이은상)
- ㄴ 금강에 살으리랏다(이은상)
- ㄴ 소경 되어지이다(이은상)
- ㄴ 그리움(유치환)
- ㄴ 가정(이상)
- ㄴ 운동(이상)
- ㄴ 고향(정지용)
- ㄴ 발열(정지용)
- ㄴ 그대들 돌아오시니-재외 혁명 동지에게(정지용)
- ㄴ 멧새 소리(백석)
- ㄴ 통영-남행시초(백석)
- ㄴ 박각시 오는 저녁(백석)
- ㄴ 주막(백석)
- ㄴ 성호부근(김광균)
- ㄴ 외인촌(김광균)
- ㄴ 자화상(서정주)
- ㄴ 달 · 포도 · 잎사귀(장만영)
- ㄴ 내 마음은(김동명)
- ㄴ 현해탄(임화)
- ㄴ 길(김기림)
- ㄴ 바다와 나비(김기림)
- ㄴ 낡은 우물이 있는 풍경(김종한)
- ㄴ 자화상(노천명)
- ㄴ 거리(박남수)
- ㄴ 송별(이병기)
- ㄴ 청포도(이육사)
- ㄴ 꽃(이육사)
- ㄴ 소년에게(이육사)
- ㄴ 고향 앞에서(오장환)
- ㄴ 바라춤(신석초)
- ㄴ 나무(박목월)
- ㄴ 봉선화(김상옥)
- ㄴ 간(윤동주)
- ㄴ 데생(김광균)
광복 이후 ~ 1950년대
- ㄴ 광복 이후 ~ 1950년대 시 문학
- ㄴ 유리창(김기림)
- ㄴ 어서 너는 오너라(박두진)
- ㄴ 해(박두진)
- ㄴ 청산도(박두진)
- ㄴ 청노루(박목월)
- ㄴ 산도화(山桃花)(박목월)
- ㄴ 달(박목월)
- ㄴ 산이 날 에워싸고(박목월)
- ㄴ 꽃덤불(신석정)
- ㄴ 낙화(落花)(조지훈)
- ㄴ 다부원(多富院)에서(조지훈)
- ㄴ 산상의 노래(조지훈)
- ㄴ 사향(思鄕)(김상옥)
- ㄴ 백자부(김상옥)
- ㄴ 견우의 노래(서정주)
- ㄴ 무등을 보며(서정주)
- ㄴ 춘향 유문(春香遺文)-춘향의 말 3(서정주)
- ㄴ 국화 옆에서(서정주)
- ㄴ 추천사-춘향의 말 1(서정주)
- ㄴ 꽃(김춘수)
- ㄴ 꽃을 위한 서시(김춘수)
- ㄴ 능금(김춘수)
- ㄴ 플라타너스(김현승)
- ㄴ 눈물(김현승)
- ㄴ 행복(유치환)
- ㄴ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(박인환)
- ㄴ 목마와 숙녀(박인환)
- ㄴ 초토의 시 1(구상)
- ㄴ 초토의 시 8-적군 묘지 앞에서(구상)
- ㄴ 초토의 시 10-휴전 협상 때(구상)
- ㄴ 눈(김수영)
- ㄴ 폭포(김수영)
- ㄴ 매화 2(이병기)
- ㄴ 상치쌈(조운)
- ㄴ 살구꽃 핀 마을(이호우)
- ㄴ 개화(이호우)
- ㄴ 구부정 소나무(리진)
- ㄴ 달팽이(김영일)
- ㄴ 강강술래(이동주)
- ㄴ 낙엽끼리 모여 산다(조병화)
- ㄴ 가을에(정한모)
- ㄴ 나비와 철조망(박봉우)
- ㄴ 휴전선(박봉우)
- ㄴ 완화삼(琓花衫)-목월(木月)에게(조지훈)
- ㄴ 나그네(박목월)
- ㄴ 적막강산(寂寞江山)(백석)
- ㄴ 울릉도(유치환)
- ㄴ 봄비(이수복)
- ㄴ 보리피리(한하운)
- ㄴ 파랑새(한하운)
- ㄴ 가을의 기도(김현승)
- ㄴ 즐거운 편지(황동규)
- ㄴ 새 1(박남수)
- ㄴ 달 있는 제사(이용악)
1960년대 ~ 1980년대
- ㄴ 1960년대 ~ 1980년대 시문학
- ㄴ 눈길(고은)
- ㄴ 화살(고은)
- ㄴ 머슴 대길이(고은)
- ㄴ 문의 마을에 가서(고은)
- ㄴ 선제리 아낙네들(고은)
- ㄴ 울음이 타는 가을 강(박재삼)
- ㄴ 흥부 부부상(박재삼)
- ㄴ 수정가(박재삼)
- ㄴ 추억에서(박재삼)
- ㄴ 처음 안 일(박두순)
- ㄴ 바다가 보이는 교실(정일근)
- ㄴ 공사장 끝에(이시영)
- ㄴ 산에 언덕에(신동엽)
- ㄴ 껍데기는 가라(신동엽)
- ㄴ 종로 오가(신동엽)
- ㄴ 너에게(신동엽)
- ㄴ 산문시 1(신동엽)
- ㄴ 봄은(신동엽)
- ㄴ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(신동엽)
- ㄴ 정념의 기(김남조)
- ㄴ 설일(김남조)
- ㄴ 겨울 바다(김남조)
- ㄴ 저녁에(김광섭)
- ㄴ 성북동 비둘기(김광섭)
- ㄴ 풀(김수영)
- ㄴ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(김수영)
- ㄴ 푸른 하늘을(김수영)
- ㄴ 파밭가에서(김수영)
- ㄴ 이별가(박목월)
- ㄴ 성탄제(김종길)
- ㄴ 파장(罷場)(신경림)
- ㄴ 목계 장터(신경림)
- ㄴ 가난한 사랑 노래(신경림)
- ㄴ 산에 대하여(신경림)
- ㄴ 농무(農舞)(신경림)
- ㄴ 서해상의 낙조(落照)(이태극)
- ㄴ 프란츠 카프카(오규원)
- ㄴ ‘꽃’의 패러디(오규원)
- ㄴ 그 이튿날(오규원)
- ㄴ 봄(이성부)
- ㄴ 숲(정희성)
- ㄴ 저문 강에 삽을 씻고(정희성)
- ㄴ 동천(서정주)
- ㄴ 신부(서정주)
- ㄴ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(서정주)
- ㄴ 신선 재곤이(서정주)
- ㄴ 나의 하나님(김춘수)
- ㄴ 처용단장 1(김춘수)
- ㄴ 이중섭 4(김춘수)
- ㄴ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(김춘수)
- ㄴ 풍장(황동규)
- ㄴ 조그만 사랑 노래(황동규)
- ㄴ 슬픔이 기쁨에게(정호승)
- ㄴ 귀천(歸天)(천상병)
- ㄴ 서울 꿩(김광규)
- ㄴ 상행(上行)(김광규)
- ㄴ 납작납작-박수근 화법을 위하여(김혜순)
- ㄴ 일어서라 풀아(강은교)
- ㄴ 숲(강은교)
- ㄴ 우리가 물이 되어(강은교)
- ㄴ 타는 목마름으로(김지하)
- ㄴ 오적(五賊)(김지하)
- ㄴ 무화과(김지하)
- ㄴ 세한도(歲寒圖)(송수권)
- ㄴ 상한 영혼을 위하여(고정희)
- ㄴ 우리 동네 구자명 씨(고정희)
- ㄴ 새벽 편지(곽재구)
- ㄴ 사평역에서(곽재구)
- ㄴ 북어(최승호)
- ㄴ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(황지우)
- ㄴ 심인(尋人)(황지우)
- ㄴ 한국 생명 보험 회사 송일환 씨의 어느 날(황지우)
- ㄴ 겨울-나무로부터 봄-나무에로(황지우)
- ㄴ 노동의 새벽(박노해)
- ㄴ 사랑(전봉건)
- ㄴ 서시(이성복)
- ㄴ 편지 2-이중섭 화가께(신달자)
- ㄴ 기념식수(이문재)
- ㄴ 빈집(기형도)
- ㄴ 식목제(植木祭)(기형도)
- ㄴ 홀린 사람(기형도)
- ㄴ 뿌리에게(나희덕)
- ㄴ 모닥불(안도현)
- ㄴ 단란(이영도)
- ㄴ 아지랑이(이영도)
- ㄴ 낙화(落花)(이영도)
- ㄴ 거산호(居山好)Ⅰ(김관식)
- ㄴ 고향의 밤나무(김철)
- ㄴ 그릇 1(오세영)
- ㄴ 조국(정완영)
- ㄴ 오렌지(신동집)
- ㄴ 옥수수밭 옆에 당신을 묻고(도종환)
- ㄴ 두만강(김규동)
- ㄴ 섬진강 1(김용택)
- ㄴ 살아 있는 날은(이해인)
- ㄴ 긴 두레박을 하늘에 대며(이해인)
- ㄴ 종 소리(박남수)
- ㄴ 아침 이미지(박남수)
- ㄴ 자수(刺繡)(허영자)
- ㄴ 나비의 여행(정한모)
- ㄴ 새벽 1(정한모)
- ㄴ 꽃밭의 독백-사소 단장(서정주)
- ㄴ 나무(이형기)
- ㄴ 폭포(이형기)
- ㄴ 낙화(落花)(이형기)
- ㄴ 꽃물(박용래)
- ㄴ 저녁 눈(박용래)
- ㄴ 산(김광섭)
- ㄴ 일상사(박목월)
- ㄴ 고무신(장순하)
- ㄴ 북 치는 소년(김종삼)
- ㄴ 물통(김종삼)
- ㄴ 어부(漁夫)(김종삼)
- ㄴ 장편(掌篇) 2(김종삼)
- ㄴ 묵화(墨畵)(김종삼)
- ㄴ 우울한 샹송(이수익)
- ㄴ 성묘(省墓)(고은)
- ㄴ 가을 편지(고은)
- ㄴ 벼(이성부)
- ㄴ 직녀에게(문병란)
- ㄴ 개밥풀(이동순)
- ㄴ 지리산 뻐꾹새(송수권)
- ㄴ 산문에 기대어(송수권)
- ㄴ 여승(송수권)
- ㄴ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(정현종)
- ㄴ 섬(정현종)
- ㄴ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(김광규)
- ㄴ 동두천 1(김명인)
- ㄴ 피아노(전봉건)
- ㄴ 이 가문 날에 비구름(김지하)
- ㄴ 서울 길(김지하)
- ㄴ 또 기다리는 편지(정호승)
- ㄴ 이별 노래(정호승)
- ㄴ 풍경 달다(정호승)
- ㄴ 희망을 만드는 사람이 되라(정호승)
- ㄴ 키(유안진)
- ㄴ 고목(김남주)
- ㄴ 대설 주의보(최승호)
- ㄴ 엄마의 발(김승희)
- ㄴ 저녁 그림자(최하림)
- ㄴ 구두 한 켤레의 시(곽재구)
- ㄴ 연필로 쓰기(정진규)
- ㄴ 노을(신달자)
- ㄴ 하숙(장정일)
- ㄴ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(장정일)
- ㄴ 질투는 나의 힘(기형도)
- ㄴ 엄마 걱정(기형도)
1990년대 이후
- ㄴ 1990년대 이후 시문학
- ㄴ 비망록(문정희)
- ㄴ 찬밥(문정희)
- ㄴ 흙(문정희)
- ㄴ 퇴근 시간(문정희)
- ㄴ 저녁 한때(임길택)
- ㄴ 꽃피는 시절(이성복)
- ㄴ 시 창작 시간(조향미)
- ㄴ 성에꽃(최두석)
- ㄴ 바퀴벌레는 진화 중(김기택)
- ㄴ 다리 저는 사람(김기택)
- ㄴ 곰국 끓이던 날(손세실리아)
- ㄴ 가을 떡갈나무 숲(이준관)
- ㄴ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(정희성)
- ㄴ 들판이 적막하다(정현종)
- ㄴ 매미 울음 끝에(박재삼)
- ㄴ 연탄 한 장(안도현)
- ㄴ 너에게 묻는다(안도현)
- ㄴ 간격(안도현)
- ㄴ 선운사에서(최영미)
- ㄴ 그림엽서(김남조)
- ㄴ 그대 생의 솔숲에서(김용택)
- ㄴ 외길(천양희)
- ㄴ 지구(地球)(박용하)
- ㄴ 서울에 사는 평강 공주(박라연)
- ㄴ 촉촉한 눈길(김상옥)
- ㄴ 우포늪 왁새(배한봉)
- ㄴ 절규(이장욱)
- ㄴ 단단한 고요(김선우)
- ㄴ 낙화, 첫사랑(김선우)
- ㄴ 땅끝(나희덕)
- ㄴ 엘리베이터(나희덕)
- ㄴ 광화문, 겨울, 불꽃, 나무(이문재)
- ㄴ 원어(原語)(하종오)
- ㄴ 동승(同乘)(하종오)
- ㄴ 밴드와 막춤(하종오)
- ㄴ 시내버스 정류장에서(하종오)
- ㄴ 신분(하종오)
- ㄴ 별을 굽다(김혜순)
- ㄴ 춘천은 가을도 봄이지(유안진)
- ㄴ 아직은 연두(박성우)
- ㄴ 산수유나무의 농사(문태준)
- ㄴ 평상이 있는 국숫집(문태준)
- ㄴ 이제 오느냐(문태준)
- ㄴ 우포늪(황동규)
- ㄴ 어떤 기쁨(고은)
- ㄴ 순간의 꽃(고은)
- ㄴ 버팀목에 대하여(복효근)
- ㄴ 잔디에게 덜 미안한 날(복효근)
- ㄴ 세한도(歲寒圖)-벼루 읽기(이근배)
- ㄴ 구두(송찬호)
- ㄴ 멀리 있는 무덤(김영태)
- ㄴ 야초(野草)(김대규)
- ㄴ 생(生)(유하)
- ㄴ 너를 기다리는 동안(황지우)
- ㄴ 서해(이성복)
- ㄴ 겨울 일기(문정희)
- ㄴ 작은 부엌 노래(문정희)
- ㄴ 동해 바다-후포에서(신경림)
- ㄴ 장자를 빌려-원통에서(신경림)
- ㄴ 이제 이 땅은 썩어만 가고 있는 것이 아니다(신경림)
- ㄴ 나무를 위하여(신경림)
- ㄴ 돌아오지 않는 새들을 기다리며(이승하)
- ㄴ 이 사진 앞에서(이승하)
- ㄴ 고독을 위한 의자(이해인)
- ㄴ 산성 눈 내리네(이문재)
- ㄴ 어머니 1(김초혜)
- ㄴ 양계장집 딸(나희덕)
- ㄴ 방을 얻다(나희덕)
- ㄴ 섶섬이 보이는 방(나희덕)
- ㄴ 못 위의 잠(나희덕)
- ㄴ 귀로 쓴 시(이승은)
- ㄴ 소나기(이면우)
- ㄴ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(진은영)
- ㄴ 세한도(도종환)
- ㄴ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(도종환)
- ㄴ 흔들리며 피는 꽃(도종환)
- ㄴ 비(황인숙)
- ㄴ 천지꽃과 백두산(석화)
- ㄴ 석류(이가림)
- ㄴ 배를 밀며(장석남)
- ㄴ 배를 매며(장석남)
- ㄴ 수묵(水墨) 정원 9-번짐(장석남)
- ㄴ 옛 노트에서(장석남)
- ㄴ 연북정(戀北亭)(정호승)
- ㄴ 수선화에게(정호승)
- ㄴ 달팽이(정호승)
- ㄴ 맹인 부부 가수(정호승)
- ㄴ 들길에서 마을로(고재종)
- ㄴ 면면(綿綿)함에 대하여(고재종)
- ㄴ 첫사랑(고재종)
- ㄴ 수선화, 그 환한 자리(고재종)
- ㄴ 솔개(김종길)
- ㄴ 겨울 강가에서(안도현)
- ㄴ 추억-‘감자 먹는 사람들’, 빈센트 반 고흐(정진규)
- ㄴ 새벽(이시영)
- ㄴ 한계(천양희)
- ㄴ 한 아이(천양희)
- ㄴ 참 좋은 말(천양희)
- ㄴ 새가 있던 자리(천양희)
- ㄴ 왜요?(천양희)
- ㄴ 사는 일(나태주)
- ㄴ 풀꽃(나태주)
- ㄴ 촉(나태주)
- ㄴ 나뭇잎 하나(김광규)
- ㄴ 강우(降雨)(김춘수)
- ㄴ 물증(오규원)
- ㄴ 산길에서(이성부)
- ㄴ 그 나무(김명인)
- ㄴ 결빙의 아버지(이수익)
- ㄴ 힘내라, 네팔-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반 1(한명희)
- ㄴ 사랑은 야채 같은 것(성미정)
- ㄴ 사과를 먹으며(함민복)
- ㄴ 오래된 잠버릇(함민복)
- ㄴ 그 샘(함민복)
- ㄴ 떡집을 생각함(권혁웅)
- ㄴ 소(김기택)
- ㄴ 멸치(김기택)
- ㄴ 사무원(김기택)
- ㄴ 겨울 노래(오세영)
- ㄴ 사이버 공간(오세영)
- ㄴ 딸에게(오세영)
- ㄴ 따뜻한 책(이기철)
- ㄴ 가지가 담을 넘을 때(정끝별)
- ㄴ 의자(이정록)
- ㄴ 밥(정용주)
- ㄴ 꽃의 말(황금찬)
- ㄴ 벌레길(김신용)
- ㄴ 붉은 얼굴로 국수를 말다(신용목)
- ㄴ 흥보가(윤제림)
- ㄴ 불법 체류자들(박후기)
- ㄴ 사과 한 알(조인선)
세계 문학
- ㄴ 세계 시 문학사
- ㄴ 관저(關雎)(작자 미상)
- ㄴ 이소(離騷)(굴원)
- ㄴ 달밤(두보)
- ㄴ 춘야희우(春夜喜雨)(두보)
- ㄴ 촉상(蜀相)(두보)
- ㄴ 고요함이여~(마쓰오 바쇼)
- ㄴ 긴 봄 햇살에~(요사 부송)
- ㄴ 풀벌레[草蟲](작자 미상)
- ㄴ 떨어지는 감알(전병구)
- ㄴ 당신을 위해(가키노모토 히토마로)
- ㄴ 낙엽송(기타하라 하쿠슈)
- ㄴ 아이를 키우며(렴형미)
- ㄴ 잡풀(리상각)
- ㄴ 산중문답(山中問答)(이백)
- ㄴ 강설(江雪)(유종원)
- ㄴ 사람에게 대답하다(태상은자(太上隱者))
- ㄴ 춘야(春夜)(소식)
- ㄴ 이사훈화장강절도화(李思訓畵長江絶島畵)(소식)
- ㄴ 난(亂) 후에 곤산(崑山)에 이르러(응우옌짜이)
- ㄴ 기탄잘리(타고르)
- ㄴ 동방의 등불(타고르)
- ㄴ 종이배(타고르)
- ㄴ 바닷가에서(타고르)
- ㄴ 마지막 흥정(타고르)
- ㄴ 망각은 없다(소나타)(파블로 네루다)
- ㄴ 시(파블로 네루다)
- ㄴ 이 밤 나는 가장 슬픈 시를 쓸 수 있으리(네루다)
- ㄴ 옷에게 바치는 송가(네루다)
- ㄴ 나는 말 없을 때의 그대를 좋아한다(네루다)
- ㄴ 우리는 질문하다가 사라진다(네루다)
- ㄴ 아름다움이 머무는 곳(파블로 네루다)
- ㄴ 검은 여인(상고르)
- ㄴ 아프리카(디오프)
- ㄴ 신곡(단테)
- ㄴ 애너벨 리(포)
- ㄴ 가을의 노래(베를렌)
- ㄴ 내게는 그 분이(사포)
- ㄴ 고향(횔덜린)
- ㄴ 캔터베리 이야기(초서)
- ㄴ 굴뚝 소제부(블레이크)
- ㄴ 니벨룽겐(Nibelungen)의 노래(작자 미상)
- ㄴ 귀거래사(歸去來辭)(도연명)
- ㄴ 미뇽의 노래(괴테)
- ㄴ 지하철 역에서(파운드)
- ㄴ 전화 통화(월레 소잉카)
- ㄴ 일리아드(호메로스)
- ㄴ 오디세이아(호메로스)
- ㄴ 아이네이스(베르길리우스)
- ㄴ 수선화(워즈워스)
- ㄴ 무지개(워즈워스)
- ㄴ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(푸시킨)
- ㄴ 고양이(보들레르)
- ㄴ 앨버트로스(보들레르)
- ㄴ 전시에 쓴 일곱 편의 사랑의 시(엘뤼아르)
- ㄴ 자유(엘뤼아르)
- ㄴ 급행 열차(스티븐 스펜더)
- ㄴ 이니스프리 호수 섬(예이츠)
- ㄴ 집(미스트랄)
- ㄴ 장미의 속(릴케)
- ㄴ 가을날(릴케)
- ㄴ 가을(흄)
- ㄴ 한 줄도 너무 길다(타다모토)
- ㄴ 황무지(엘리엇)
- ㄴ 슬픈 장난감(이시카와 타쿠보쿠)
- ㄴ 석류들(발레리)
- ㄴ 가 보지 못한 길(프로스트)
- ㄴ 눈 내리는 저녁 숲 가에 멈춰 서서(로버트 프로스트)
- ㄴ 저기 저 산을 부수어(아프리카 민요)
- ㄴ 풀(칼 샌드버그)
- ㄴ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(브레히트)
- ㄴ 분서(焚書)(브레히트)
- ㄴ 나무가 바람에게(데이비드 맥켄)
'아침정원 > 시, 산문 & 수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월의 시/ 김남조 (0) | 2018.06.10 |
---|---|
고향길/ 夢談(몽담) 김선자 (0) | 2018.01.07 |
The Road Not Taken (가지 않은 길)/ Robert Frost (0) | 2017.11.13 |
가을의 길목에서/ 세영 박광호 (0) | 2017.08.22 |
[8월에 관한 시 모음] 김종길의 '목백일홍' (외) _ ♪ Schubert's Standchen (Serenade)/ Lang Lang (0) | 2017.08.19 |